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사주로 풀어보는 [보물섬] 염장선의 성격과 삶

드라마케릭터 사주분석

by 사주읽는 아낙네 2025. 4. 8. 18:29

본문

안녕하세요. 오늘은 SBS 드라마 보물섬의 강렬한 인물, 염장선의 사주를 통해 그의 성격과 인생 여정을 상상하며 풀어보려고 합니다.
보물섬은 2조 원의 정치 비자금을 둘러싼 복수극으로 염장선은 권력과 돈을 쥐고 모두를 조종하는 냉혹한 킹메이커!!
드라마 속 모습과 사주가 어떻게 어울리는지 함께 살펴보시죠!

己丙庚壬  男
亥午戌寅

 

1. 염장선의 성격 : 독립성과 냉혹한 통제력

 
丙화는 태양처럼 강렬하고 빛나는 성격을 뜻하는데 일지 겁재의 영향으로 자기 중심적이고 독립적인 면모가 강화되어 강렬하고 빛나는 존재감으로 권력의 중심에 서서 모두를 압도하는 카리스마를 뿜어냅니다.
그는 권력의 정점에 선 비선실세로 자신의 왕국을 스스로 쌓아올리려 합니다.
대산그룹과 정치권을 장악하려는 모습은 丙午일주의 단단함과 자신감이 그대로 발휘되는 모습입니다.
편관은 권력으로 타인을 억누르는 성향을 뜻하며, 물의 기운은 차갑고 치밀한 계산을 상징하는데 년간의 壬수편관과 시지의 亥수편관은 그의 냉혹함과 통제력을 보여줍니다.
서동주를 제거하려는 계획이나 비자금을 되찾으려는 집착은 편관의 힘이에요.
그는 감정을 숨기고 냉정하게 세상을 조종함으로써 쾌감을 느낍니다.
또한 庚금편재는 돈과 사람에 대한 강한 욕망인데 戌토의 노련한 지략으로 편재를 다스립니다..
2조 원 비자금을 둘러싼 그의 집착은 편재의 극단적 표현이고 서동주와의 싸움에서 치밀한 전략을 세우는 모습은 戌토에 의해 노련해진 庚금편재를 활용하는 술수에요.
寅목편인은 그의 내면에 억제되지 않는 야망인데 午화겁재가 경쟁심과 투쟁심을 더해줍니다.
서동주와 대면하며 협박하는 모습은 겁재의 불꽃이 타오르는 모습입나다.
己토상관은 독창성과 반항적 기질을 보여주는데 그가 기존 질서를 따르기보다 자신만의 규칙을 만들려 하는 것은 겁재와 상관의 기질입니다.
 

2. 염장선의 삶

 
유년기 : 야망의 씨앗

壬수편관과 寅목편인이 어린 시절을 형성했어요.
장생은 생명력과 성장의 시작을 뜻하는데 편관은 억압적인 환경이나 권력있는 인물의 영향을 받았음을 암시하고, 편인은 그 속에서 자신만의 야망의 씨앗을 키웠을 거예요.
어릴 때부터 복잡한 가정사나 엄격한 환경에서 생존을 위해 강한 리더십과 냉철한 판단력을 키우며 냉혹한 편관의 기운을 편인으로 받아내며 나무가 뿌리를 내리듯 권력의 맛을 알게되었을 거예요.
장생의 에너지는 그의 강한 생존 본능과 미래를 향한 열망을 보여줍니다.

청년기 : 권력으로의 첫걸음

묘지는 잠재력이 묻히는 시기이며 자신의 느력을 숨기며 기회를 노리는 시기입니다.
庚금편재는 돈과 권력을 쌓는 욕망, 戌토식신 치밀한 계획과 통찰력을 나타내는데 이 조합은 그가 재물과 지략으로 이를 극복하고 정치적 조종자로서의 면모를 본격적으로 키웁니다.
이 시기에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그들을 이용해 권력의 판을 짜는 법을 배우며 자신의 기반을 다집니다.
戌토의 노련함으로 庚금편재를 활용하면서 세상에 나서지 않고 조용히 자신의 야망을 준비했습니다.
한편으론 성공 뒤에 잠재된 위기를 암시하며 서동주 같은 적이 나타날 토대를 만들었을지도 모릅니다.
겉으론 빛나는 청년기였지만 내면엔 불안과 경쟁의 씨앗이 싹텄을 거예요.

장년기 : 권력의 절정

제왕은 전성기와 힘의 정점을 뜻하며 午화겁재는 경쟁과 열정을 뜻하는데 그의 야망이 정점에 이른 상태예요.
검찰총장과 국가정보원장으로 권력의 기반을 다지며 대산그룹과 정치권을 장악하며 권력의 태양으로 군림하죠.
서동주와 대면하며 협박하는 장면은 제왕의 카리스마와 비견의 독립심이 발휘된 순간입니다.
겁재의 강한 경쟁심을 보여주며 서동주라는 강적 앞에서도 물러서지 않아요.
이 시기에 그는 세상을 손에 쥔 듯했지만 비자금을 빼앗긴 사건은 그의 운명을 가를 분수령이 될 거예요.
제왕의 에너지가 권력의 꼭대기로 올렸지만 그만큼 위험도 커집니다.
허일도 같은 인물을 조정하며 대산그룹을 장악하력하고 대통령조차 그를 두려워하지만 그의 삶에는 빛과 그림자가 극명하게 나뉩니다.

노년기 : 몰락과 반성

절지는 끊김과 끝을 뜻하며 상관은 독창성과 반항심, 편관은 권력에 대한 집착을 나타냅니다.
서동주가 비자금을 폭로하고 그를 무너뜨린다면 이는 절지의 몰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요.
끝까지 자신의 왕국을 지키려 하지만 절지의 기운은 그가 권력의 끝자락에서 몰락하는 것을 암시합니다.

3. 결론 : 빛나는 태양과 어두운 종말의 갈림길

 
염장선의 사주는 독립심과 권력욕이 강하고 재물과 지략이 두드러집니다.
그는 태양처럼 빛나며 세상을 조종하지만 너무 과한 욕심 때문에 절지의 그림자가 드리우며 몰락의 가능성을 던져줍니다.
午화겁재는 그를 경쟁속으로 몰아넣고 寅목편인은 야망의 불꽃을 불태워요.
드라마에서 서동주에게 패배한다면 이는 제왕의 정점에서 절지로 떨어지는 결말일 거예요.
하지만 己토상관과 亥수편관의 끈질김은 그가 마지막까지 싸울 가능성도 열어둡니다.
그의 내면엔 편인의 뜨거운 열정이 숨어 있어요.
권력 뒤에 가려진 인간적인 면모가 노년기에 드러날까요? 아니면 끝까지 냉혹한 조종자로 남을까요?
그의 운명은 빛과 어둠의 갈림길에서 결정될 거예요.
태양이 꺼진 뒤에도 잔재가 남을지, 아니면 완전히 재가 될지 드라마 결말이 궁금해지네요.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