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읽는 아낙네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사주읽는 아낙네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334) N
    • 음앙 (1)
    • 오행 (5)
      • 목 (1)
      • 화 (1)
      • 토 (1)
      • 금 (1)
      • 수 (1)
    • 천간 (123)
      • 갑 (13)
      • 을 (13)
      • 병 (12)
      • 정 (12)
      • 무 (12)
      • 기 (12)
      • 경 (12)
      • 신 (12)
      • 임 (13)
      • 계 (12)
    • 지지 (10) N
      • 인 (1)
      • 묘 (1)
      • 진 (1)
      • 사 (1)
      • 오 (1)
      • 미 (1)
      • 신 (1)
      • 유 (1)
      • 술 (0)
      • 해 (0)
      • 자 (1)
      • 축 (1) N
    • 십성 (15)
      • 비견, 겁재 (3)
      • 식신, 상관 (3)
      • 정재, 편재 (3)
      • 정관, 편관 (4)
      • 정인, 편인 (2)
    • 합충형파해 (14)
      • 합 (6)
      • 충 (6)
      • 형 (1)
      • 파 (0)
      • 해 (0)
    • 기타신살 (7)
      • 공망 (3)
      • 도화, 홍염 (1)
      • 백호살, 괴강살 (3)
      • 삼재 (0)
    • 12운성, 12산살 (25)
      • 장생, 지살 (2)
      • 목욕, 년살(도화) (2)
      • 관대, 월살 (2)
      • 건록, 망신 (2)
      • 제왕, 장성살 (2)
      • 쇠지, 반안살 (2)
      • 병지, 역마살 (2)
      • 사지, 육해살 (2)
      • 묘지, 화개살 (2)
      • 절지, 겁살 (2)
      • 태지,재살 (2)
      • 양지, 천살 (2)
    • 일주론 (0)
    • 마음의 양식 (23)
      • 진로, 적성, 학습 (1)
      • 사랑, 행복 (2)
      • 일상생활 (4)
      • 제테크 (1)
      • 건강, 수명 (0)
      • 겨울나무는 얼어 죽지 않는다 (3)
      • 힘들면 잠시 쉬었다 가게나 (2)
      • 개운법 (10)
    • 인연법 (6)
    • 사주풀이 (5)
    • 띠별 월운 (11)
    • 드라마케릭터 사주분석 (20)
    • 2025년 하반기 운세풀이 (40) N

검색 레이어

사주읽는 아낙네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천간/무

  • 戊토가 亥수를 볼 때

    2023.08.31 by 사주읽는 아낙네

  • 戊토가 戌토를 볼 때

    2023.08.30 by 사주읽는 아낙네

  • 戊토가 酉금을 볼 때

    2023.08.30 by 사주읽는 아낙네

  • 戊토가 申금을 볼 때

    2023.08.29 by 사주읽는 아낙네

  • 戊토가 未토를 볼 때

    2023.08.29 by 사주읽는 아낙네

  • 戊토가 午화를 볼 때

    2023.08.28 by 사주읽는 아낙네

  • 戊토가 巳화를 볼 때

    2023.08.28 by 사주읽는 아낙네

  • 戊토가 辰토를 볼 때

    2023.08.26 by 사주읽는 아낙네

  • 戊토가 卯목을 볼 때

    2023.08.23 by 사주읽는 아낙네

  • 戊토가 寅목을 볼 때

    2023.08.23 by 사주읽는 아낙네

戊토가 亥수를 볼 때

1. 십성 및 12운성 편재, 겉으로는 편재의 모습을 하고 있지만 甲목편관을 품고 있어 재생살로 작용한다. 戊토의 세력이 강해 재생살을 감당할 수 있으면 경제적, 사회적 번영을 이룰 수 있지만 戊토의 세력이 약할 경우는 감당하기 벅찬 어려움이 된다. 亥수편재의 환경에서 절지에 놓인다는 것은 경제활동에 있어 끊어질 정도로 힘들다. 하지만 戊토의 기질은 곧 죽어도 재물을 보는 것 자체로 좋아한다. 금식상의 기운이 불안해 재물을 획득하는 과정이 기복이 심하지만 록왕으로 재성의 기운이 강해 재물보상은 긍정적이다. 게다가 甲목편관이 장생에 놓이는데 명예를 얻고 권력을 취하는데 아주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 하지만 화인성이 절태에 놓여 명예를 추구하다 재물에 손실이 발생할 수 있는데 재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는 힘들..

천간/무 2023. 8. 31. 18:24

戊토가 戌토를 볼 때

1. 십성 및 12운성 비견, 일간의 뿌리가 되어주는 것이 비견의 작용이지만 이 경우는 오히려 작은 공간에 갇힌 모습처럼 겉으로 드러난 활동보다 보이지 않는 정신적 활동을 한다. 물론 긍정적으로 보면 일간을 자신의 품속에 넣어 지켜주는 모습도 된다 戌토비견의 환경에 입묘되어 좁은 공간에서 육체적 활동은 극도로 위축되고 정신적 활동을 한다. 양의 속성을 가진 戊토가 亥子丑의 강한 음의 기운을 지날 때 손상되지 않도록 품어서 지켜주려는 의도를 가지기도 하지만 戊토는 외부적인 활동이 억제되는 것을 꺼린다. 금식상의 기운이 강해 활동성을 가진다고 볼 수도 있지만 목화의 식상처럼 밖으로 드러나는 활동력이 아니라 안으로 집요하고 끈질긴 활동력을 보인다. 壬수편재도 관대지로 기운이 강해 재물보상이 무난한다. 겉으로 ..

천간/무 2023. 8. 30. 23:01

戊토가 酉금을 볼 때

1. 십성 및 12운성 상관, 酉금은 戊토에 매금되는 현상이 있어 상관의 작용이 뜻대로 이루어지기는 힘들다. 酉금상관의 환경에서 사지에 놓이는데 자신의 모습을 포장해서 드러내고자 할 경우 기운이 쇠약해지는데 결국은 몸과 마음이 따로 노는 격이다. 금식상이 록왕으로 자신을 표현하려는 욕구는 강하지만 실질적으로 자신의 의지를 표현할 수 없을 정도로 기운이 약해진 상태다. 뜻을 펼치고자하는 생각은 강한 반면 행동이 따라주기 않아 억눌렸던 감정이 폭발할 경우는 제어하기가 상당히 힘들다. 수재성 또한 목욕지, 병지로 안정되지 못해 재물보상을 이루기가 쉽지 않고 재물을 획득하더라도 소비와 사치가 심해 재물축적이 힘들다. 관성도 절태지에 놓여 반듯한 직장에 인연하기 힘들고 진급과 이동이 거의 없는 직장에 인연할 경우..

천간/무 2023. 8. 30. 18:52

戊토가 申금을 볼 때

1. 십성 및 12운성 식신, 무성하게 자라던 것이 멈추고 수확을 바라보니 식신을 아주 잘 활용할 수 있다. 申중에 壬수편재가 있어 재물보상까지 주어진다. 申금식신의 환경에서 병지로 원거리를 돌아다니면 활동하는 모습도 되는데 병지는 외로움을 달래려 돌아나니는 모습이지만 역마와 뜻이 상통한다. 壬수편재가 장생으로 장사나 사업을 통한 재물 획득이 가능한데 리스크를 가진다. 癸수정재가 사지에 놓이고 목관성이 절태로 직장생활을 통한 안정적인 재물을 획득은 불안하다. 인성 또한 목욕지, 병지에 놓여 학문을 위해 돌아다니는 스타일로 유학과 인연이 있고 배움의 목적이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는데 있어 학구열에 비해 학문의 깊이가 없는 경우가 많다. 2. 申금식신의 위치에 따른 해석 - 년지에 申금식신이 있는 경우 식신생..

천간/무 2023. 8. 29. 21:53

戊토가 未토를 볼 때

1. 십성 및 12운성 겁재, 토의 속성이 강한 未토는 겁재로서 작용력이 강하다. 특히 午화의 여기가 넘어와 정인의 성향이 강한 천을귀인 겁재로 긍정적인 작용하는 경우도 많다. 未토겁재의 환경에서 쇠지로 작용하는데 양간의 쇠지는 속으로 기운이 조금씩 약해지는 단계이지만 겉으로 아직 기운이 남아있다. 庚금식신이 관대지로 강한 활동력을 보이지만 癸수정재가 입묘되어 안정적인 재물보상을 기대하기는 힘들다. 甲목편관이 입묘되어 어려운 문제는 없을지 모르지만 戊토는 甲목을 꺼리지 않고 오히려 소토작용으로 흙속에 생기를 불어넣는 작용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답답해할 수 있다. 게다가 강한 화인성의 작용으로 토를 더욱 강하게 하여 매광, 매금으로 인한 불편함을 감수해야된다. 2. 未토겁재의 위치에 따른 해석 - 년지에 ..

천간/무 2023. 8. 29. 19:55

戊토가 午화를 볼 때

1. 십성 및 12운성 정인, 양인의 완고한 성정과 강한 자존심으로 자신의 의지를 내세워 일을 추진한다. 하지만 강한 자신감이 자칫 자만심으로 발현되어 타인과의 불화가 잦다. 식상이 목욕지, 병지에 놓여 불안정하고 재성이 절태에 놓여 재물을 취하려는 활동보다 자신을 드러내고 멋을 부리기를 좋아하는 한량이다. 乙목정관이 장생으로 일반적이고 반듯한 직장에 인연할 경우는 성공과 발전은 있지만 직장동료와의 불화는 피할 수 없다. 편관이 사지에 놓여 권력성이 강한 직업에는 인연이 부족하지만 寅목편관이 지지에 놓여 강한 양인의 기운을 제어한다면 권력성은 가진 직장조직에서 성공과 발전을 이룰 수 있다. 화인성이 록왕으로 직장조직에서 진급으로 인한 명예와 권력을 획득하기에 유리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2. 午화정인의..

천간/무 2023. 8. 28. 20:56

戊토가 巳화를 볼 때

1. 십성 및 12운성 편인, 편인은 식상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지만 戊토에 巳화편인은 申금식신과 酉금상관을 지원한다. 초여름에 가을의 씨앗을 준비하는데 巳화가 금을 밀어준다. 庚금식신이 장생으로 정직하게 일을 해서 수확을 준비하지만 수재성이 절태지로 기운이 약해 아직 재물보상을 이루기는 힘든 시기다. 관성의 기운도 안정되지 않아 반듯한 직장에 인연하기 힘들지만 지지에 록을 두었다는 것은 하늘의 뜻을 계승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공직에 인연할 수 있다. 록왕으로 강한 인성의 기운에 의해 사주의 구조가 좋으면 높은 직책으로 승진이 가능하고 특별한 기술, 자격을 활용한 직업에서 성공을 이룰 수 있다. 문서나 부동산을 통한 재산을 이루기도 한다. 2. 巳화편인의 위치에 따른 해석 - 년지에 巳화편인이 있는 경우..

천간/무 2023. 8. 28. 19:32

戊토가 辰토를 볼 때

1. 십성 및 12운성 비견, 백호를 놓아 비견으로써의 작용이 강해서 형제, 친구에 대한 원망을 가질 수 있다. 辰토비견의 환경에서 관대지에 놓이는데 관대지는 보통 편관을 입묘시킴으로써 일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戊토는 甲목편관은 오히려 반긴다. 辰토는 寅卯辰 목의 일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甲목편관이 허물어지지 않는다. 辛금상관을 입묘시켜 활동성이 억제되는데 壬수편재도 입묘되어 개인적인 사업을 하더라도 재물보상이 박하고 형제나 친구에게 뺏길 가능성이 높다. 강한 관성과 인성의 기운으로 공직이나 반듯한 직장에서 진급에 의한 명예나 권력을 가질 수 있다. 대체로 자신의 전공한 것을 직업으로 삼는 경우가 많고 자기 사업을 하더라도 큰 조직과 관련할 경우 경제적 보상은 크지 않으나 안정된 형태의 사업을 유지..

천간/무 2023. 8. 26. 18:58

戊토가 卯목을 볼 때

1. 십성 및 12운성 정관, 戊토는 卯목정관보다 寅목편관을 잘 활용하다. 卯목을 보는 것은 정관의 작용을 활발하게 하지않고 자신을 드러내 주위사람들의 이목을 끄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卯목정관의 환경에서 목욕지에 놓이는데 상관으로 자신을 드러내는 방법과 정관으로 자신을 드러내는 방법에는 차이가 있는데 정관의 환경에서 목욕의 기질을 드러낸다는 것은 경건하고 엄숙한 분위기에서 노래하고 춤을 추는 모습으로 언밸런스한 부분이 있다. 상관이 절태지로 정작 자신을 드러내고 재능을 발휘하는데에는 숙맥이다. 癸수정재가 장생으로 안정된 형태의 재물을 획득할 수 있다. 乙목정관이 록으로 반듯한 직장이나 안정된 공직에 인연하여 월급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편관의 기운도 왕지로 강하기 때문에 사주에 甲목이나 寅목이 드러나..

천간/무 2023. 8. 23. 18:32

戊토가 寅목을 볼 때

1. 십성 및 12운성 편관, 寅목이 戊토를 극하는 관계에 놓이지만 실질적으로 戊토가 寅목을 품어주는 모습으로 편관의 작용이 강하지 않다. 寅목편관의 환경에서 장생에 놓이는데 겨우내 꽁꽁 얼어붙어 갑갑한 대지에 寅목이 싹을 틔우면서 땅 속에 생기를 불어넣으니 대지가 숨을 쉴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식상이 절태에 놓여 진취적으로 진행하던 일을 끝까지 추진하는 힘이 약하다. 재성도 병지, 목욕지에 놓여 기운이 불안정하여 재물보상이 이루어지더라도 얻는 것보다 잃는것이 많다. 그리고 멋내기를 좋아하는 부인으로 과한 소비패턴으로 인해 재물을 축적하기가 쉽지 않다. 록왕에 놓인 강한 관성의 기운으로 명예와 권력을 추구하고 편관이 록으로 권력성을 가진 조직에 인연하기 쉽다. 게다가 丙화편인이 장생으로 승진으로 인한 ..

천간/무 2023. 8. 23. 15:16

추가 정보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사주읽는 아낙네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