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辛금이 子수를 볼 때

천간/신

by 사주읽는 아낙네 2023. 8. 8. 10:09

본문

1. 십성 및 12운성


식신, 寅子격각, 子卯형으로 재물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한겨울에 눈꽃처럼 辛금자체를 더욱 깨끗하고 순수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子수식신의 환경에서 장생에 놓여 제조, 생산의 인자도 있지만 재물보상이 크지 않다.
문창의 총명함으로 학문에 자질이 있고 식상이 강해 자신이 쌓은 지식을 잘 드러내니 교육이나 종교에 인연하면 발전을 이룰 수 있다.

甲목정재가 목욕지에 놓여 재물보상을 이루기 힘들고 돈을 벌더라도 자신을 꾸미거나 투자로 인한 지출이 많아 결국 재물를 축적하기는 힘들다.

관성과 인성도 절태지에 놓여 명예나 권력을 얻기 위한 특별한 목표를 가진 공부가 아니다보니 관심사가 바뀌면 언제든지 추구하는 학문의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다.

2. 子수식신의 위치에 따른 해석


- 년지에 子수식신이 있는 경우

문창의 영향으로 학문에 인연하지만 재물이나 명예를 추구하기보단 학문자체에 진심이었던 선비의 삶으로 식솔들이 아주 힘들었을 것이다.
어린 시절 친구들과 어울리는 것을 좋아하지만 밖에서 뛰어놀기 보다는 독서모임이나 영화, 음악 등에 관심이 있는 친구들과 어울렸다.

- 월지에 子수식신이 있는 경우

식신격은 목적을 가지고 일을 하는 것보다 일 자체에 목적이 있다.
똑같은 할당량을 줘도 식신격은 자신의 일을 다하고 다른 사람의 일을 도와준다.
식신생재로의 연결이 원활하지 않아 제조, 생산은 가능하지만 판매나 유통에는 젠병이다.

그래서 판매루트를 확보하고 생산을 하든지 전문판매원을 둬야된다.
그렇지 안으면 재고가 쌓여 결국은 망하는 경우가 많은데 딱 식상의 활동까지만 하는 교육, 종교, 상담, 평론가 등의 직업에 인연하면 좋다.

- 시지에 子수식신이 있는 경우

戊辛ㅇㅇ
子ㅇㅇㅇ
戊子시에 놓이는데 戊토정인은 말년까지 학문을 지속하는 학자의 모습이다.
식신 위에 있는 정인으로 제자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의 모습이다.
교장, 장학사 같이 재물이나 명예와는 거리가 먼 오로지 제자들을 위한 멘토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3. 운의 적용


운에서 子수식신을 만나 활발하게  식상활동을 하더라도 재물과 인연하는 것은 쉽지 않다.
寅子격각, 子卯형으로 재성과의 연결이 매끄럽지 않고 亥子丑의 환경 자체가 역동적인 활동이 이루어지기 힘든 시기다.

강한 식상의 기운이 긍정적인 작용을 하지만 현금재산으로 연결되기는 힘들고 丑토나 辰토로 흐르는 세운의 경우는 문서나 부동산 등으로 재산을 늘릴 수 있다.

4. 결론


辛금은 쥐는 속성이 강하기 때문에 자체로도 재물과 관련이 있다.
子수의 환경이 강한 식상의 성향을 가지지만 재성과의 연결이 쉽지 않아 왕성한 활동에 비해 재물보상은 많지 않다.

가치를 함축시켜 놓은 것으로 한겨울에 눈꽃같은 상징성을 띄는 모습이 辛금이 子수를 보는 경우다.


'천간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辛금이 巳화를 볼 때  (0) 2023.08.13
辛금이 辰토를 볼 때  (4) 2023.08.11
辛금이 卯목을 볼 때  (1) 2023.08.11
辛금이 寅목을 볼 때  (1) 2023.08.10
辛금이 丑토를 볼 때  (2) 2023.08.08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