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戊토가 子수를 볼 때

천간/무

by 사주읽는 아낙네 2023. 8. 19. 12:05

본문

1. 십성 및 12운성


정재, 가장 이상적인 짝이 되는 글자로 戊토가 子중癸수와 합을 하기 위해 끌어당기는 기운이 강하게 작용한다.

子수정재의 환경에서 태지에 놓이는데 子수가 戊토를 보호하는 작용이 아니라 온갖 세파에 시달려 탁해진 戊토가 어린 子수를 보고 순수해진다는 의미다.

辛금이 장생으로 상관의 기질이 드러날 수 있으나 상징적인 의미가 강하고 식신이 사지에 놓여 활동성이 약하다.

재성이 록왕으로 재물에 대한 의지는 강하지만 활동성과 의지력이 부족하여 식상생재로 인한 재물성취는 어렵다.
재물에 대한 인연이 없는게 아니라 먹고 사는데는 충분하지만 재물을 축적하기는 쉽지 않다.

관성과 인성이 목욕지, 병지로 유흥이나 연예계 쪽으로 인연할 수도 있다.
하지만 관성의 기운이 안정되지 못해 반듯한 직장에 인연하기 힘들고 직장생활에 기복이 심하기 때문에 영업이나 홍보, 무역 등의 변화, 변동이 심한 직업에 인연하는 경우가 많다.

2. 子수정재의 위치에 따른 해석


- 년지에 子수정재가 있는 경우

경제적으로 부유한 집안에서 별 걱정없는 어린 시절을 보냈다.
딱히 공부를 잘하는 것도 아니고 공부를 열심히 해야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 관심이 없었으나 경제적인 도움으로 학원도 다니고 과외도 받아 어느 정도 수준의 학문성취는 이루지만 인성적인 학문이 아니라 재성적인 학문으로 필요한 부분만 공부한다.

- 월지에 子수정재가 있는 경우

경제적으로 부모의 혜택을 누리는데 왕지는 가업계승이나 집안의 전통을 계승하는 인자다.
특히 戊토는 갈증을 심하게 느껴 子수를 반기기 때문에 그런 성향이 강하다.
정재의 속성으로 재물활동에 관련된 가업 계승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엔 세무, 회계, 경리 등 돈과 관련된 직업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 일지에 子수정재가 있는 경우

가장 이상적인 음양의 짝이지만 배우자 인연은 그다지 원활하지 않다.
물론 요즘처럼 자식에 대한 미련이 강하지 않으면 별문제는 없다.

특히 남자의 경우 일지 子수가 寅子격각, 子卯형으로 관성을 용납하지 않는다.
남자입장에서 관성은 자식인데 부인과 자식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니 원래부터 부인이 없거나 이혼하는 경우도 많다.

여자의 경우 申금식신과는 申子합으로 조화를 이루지만 申금을 천간으로 올리면 庚금이 되는데 庚금이 子수에 사지가 되어 일찍 엄마를 떠나야 성공할 수 있다.
유학을 갈수도 있지만 엄마를 떠나 아버지와 함께 사는 경우도 있다.

- 시지에 子수정재가 있는 경우

壬戊ㅇㅇ
子ㅇㅇㅇ
壬子시에 놓이는데 말년에 재물활동이 왕성하다.
이렇게 간여지동으로 강한 재성이 놓여 있다는 것은 돈을 벌기 위한 활동이 아니라 그동안 벌어놓았던 것을 쓰는 환경이라 볼 수 있다.

3. 운의 적용


子수정재를 운에서 만나면 금전융통은 이루어지지만 큰 돈을 벌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子丑의 속성으로 활발한 활동이 이루지지도 않고 재성의 뿌리가 약해서 재물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도 힘들다.

4. 결론


음양의 조화로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짝을 이룬 듯 하지만 실제론 말 못할 사정이 많다.

정재만 보고 재물을 추구한다면야 괜찮은 결과를 볼 수 있지만 가정을 이루고 자식을 인연하는 과정에서 우여곡절을 겪게된다.


'천간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戊토가 巳화를 볼 때  (0) 2023.08.28
戊토가 辰토를 볼 때  (0) 2023.08.26
戊토가 卯목을 볼 때  (0) 2023.08.23
戊토가 寅목을 볼 때  (0) 2023.08.23
戊토가 丑토를 볼 때  (0) 2023.08.19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