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십성 및 12운성
정인, 丑토는 子수의 여기가 넘어와 상관으로 관성을 극하는 작용을 하지만 천을귀인으로 긍정적인 작용도 많다.
丑토정인의 환경에서 입묘지에 놓이는데 목의 기운을 열기 위해 금의 작용이 아주 약해진다.
癸수상관이 관대지로 음간양인의 기질을 가진 상관이다.
재성을 생하는 작용이 강하지만 재성이 없는 경우 상관견관으로 관성을 심하게 극한다.
丑토는 寅목편재를 생하는 丑생寅의 작용을 한다.
이 때 丑토정인이 목재성을 극하는 모습이 아니라 상관의 기운이 강한 丑토가 상관생재로 寅목을 생하는 작용을 한다.
甲목편재가 관대지로 강한 상관생재의 작용으로 경제적인 보상을 이룬다.
丁화정관이 입묘되어 직장조직과는 인연이 어렵지만 丑토가 정인의 모습을 하고 있어 火관성이 사주에 드러나 있으면 관인소통으로 직장조직에 인연할 수 있지만 운의 간섭에 의해 언제든지 식상생재의 길을 갈 수 있다.
토인성도 입묘지로 학문으로 성공하기는 어렵다.
천을귀인 정인의 작용으로 화관성이 있으면 관인소통을 하려하지만 결국 입묘작용으로 오랫동안 직장조직 생활에 인연하기 힘들다.
그리고 강한 식상의 기운으로 관성을 극하는 작용으로 직장내 불협화음을 극복하기가 쉽지 않다.
2. 丑토정인의 위치에 따른 해석
- 년지에 丑토정인이 있는 경우
천을귀인의 영향으로 丑토정인의 학문적 성취가 있었지만 입묘작용으로 오랫동안 유지되지는 못했다.
오히려 강한 상관의 기운으로 관을 극해 관재구설에 시달릴 수 있다.
- 월지에 丑토정인이 있는 경우
丑토정인의 귀인작용으로 학식이 높고 성품이 고상한 부모의 혜택이 있었다.
하지만 부모의 혜택이 너무 지나치면 입묘된 모습처럼 청년기에 사회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백수로 지내는 경우도 발생한다.
- 시지에 丑토정인이 있는 경우
丁庚ㅇㅇ
丑ㅇㅇㅇ
丁丑시에 놓이는데 시정관으로 말년에 명예를 누리는 모습이다.
丑토가 정인의 형태를 뛰고 있지만 관성과 인성의 기운이 강하지 못해 직장에서 진급으로 인한 명예와 권력을 누리는 모습보다 말년에 재물을 사회에 환원하는 봉사성이 짙은 선출직 형태의 명예로 볼 수 있다.
丑토가 귀인의 작용도 하지만 丁화정관이 丑토에 입묘되고 丁丑이 백호로 작용하기 때문에 명예가 상승했다가 실추되는 과정을 겪으면서 건강에 손상이 올 수 있으니 항상 주의해야 된다.
3. 운의 적용
丑토정인을 운에서 만날 경우 귀인의 작용으로 긍정적인 면도 있지만 상관의 기운이 강하고 정관과 정인이 입묘되어 관을 손상시킬 수도 있다.
사주에 목재성이 있는 경우는 상관생재의 작용을 하지만 子丑의 특성상 빠르게 진행되지 않는다.
하지만 천을귀인의 작용으로 활동성에 비해 주변의 도움으로 보상은 크게 이루어진다.
4. 결론
子수의 여기가 넘어와 상관의 기운이 강해서 관성을 극하는 성향이 있다.
하지만 목재성이 있으면 관성을 극하는 상관이 아니라 재성을 생하려는 상관으로 작용하려 하지만 자축의 성향상 생재의 동작이 느리다.
그리고 丁화정관과 己토정인을 입묘시켜 관인소통이 원활하지 못해 직장조직이나 남편의 덕을 보기는 힘들다.
하지만 천을귀인의 작용으로 주변에 도움을 받는데 식상과 재성의 기운이 강하고 丑토가 寅목편재를 생하는 작용이 강해 경제적인 보상을 얻는 것에는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
庚금이 巳화를 볼 때 (5) | 2023.08.02 |
---|---|
庚금이 辰토를 볼 때 (0) | 2023.08.01 |
庚금이 卯목을 볼 때 (4) | 2023.07.31 |
庚금이 寅목을 볼 때 (3) | 2023.07.31 |
庚금이 子수를 볼 때 (4) | 2023.07.2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