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십성 및 12운성
정관, 丑토는 토로써의 작용력이 약하다.
丑중癸수와 辛금의 기운이 강해 정관의 작용보다 인성이나 비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더 많다.
丑토의 환경에서 쇠지로 작용하는데 겉으로는 아직 기운이 남아있는 모습으로 노련함이 더해진다.
식신이 관대지에 놓여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추구하지만 재성이 묘지로 기운이 약해서 경제적 보상을 이루기 힘들다.
관성 또한 기운은 강하지 않기 때문에 누구나 알아주는 유명한 직장은 힘들어도 한직이나 연구직, 교육직에 인연한다.
지지에 토는 주위 글자의 간섭에 따라 수시로 변하기 때문에 직장이동이나 직업 변동이 심하다.
2. 丑토정관의 위치에 따른 해석
- 년지에 丑토정관이 있는 경우
관직에 몸 담았던 조상인연인데 丑토의 특성상 고관은 아니라 미관말직일 가능성이 높다.
재관이 수시로 입묘되는 환경이라 재물과 명예의 혜택은 오래 누리지 못하고 낙향해서 주로 제자들을 가르치는 일을 했을 것이다.
편인이 입묘되는 환경에서 식신의 기운이 왕성하여 대체로 건강하고 활발한 어린 시절을 보낼 수 있다.
- 월지에 丑토정관이 있는 경우
정관격의 모습은 하고 있지만 丑중辛금 정인의 기운으로 습득한 지식을 왕성한 비겁으로 습득한 지식을 충분히 이해한 다음 식신으로 밖으로 내보내는 교육에 최적화되어 있다.
물론 직장조직 형태로 간다면 관성의 기운이 약하기 때문에 변화가 적은 선생님, 교수, 연구원, 미관말직에 인연할 수 있다.
- 시지에 丑토정관이 있는 경우
辛壬ㅇㅇ
丑ㅇㅇㅇ
辛丑시에 놓이는데 정인, 정관으로 관인상생이 되는 모습이다.
하지만 관성의 기운은 약하고 辛금정인의 기운이 강하다보니 인성입장에서 관성을 활용하는 모습으로 교육을 하기 위해 조직이 필요하고 문서와 부동산을 취급하기 위해 관을 활용하는 모습이다.
결국 선생님이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학교가 존재하는 것으로 학교라는 조직보다는 선생님의 인성적 역량을 더 우선시한다는 뜻이다.
선생님이 되기 위해 공부를 한 것이 아니라 공부를 하다보니 선생님이 되었다.
3. 운의 적용
운에서 丑토정관을 만났을 때 정관이 모습만 보고 취직을 하고 승진을 한다고 생각하면 낭패를 보는 경우가 많다.
오히려 학문에 박차를 가하는 시기로 활용하고 공부한 것을 충분히 자기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庚금편인이 입묘되고 甲목식신이 관대지에 놓여 활동력이 강해지는 시기이지만 丑토의 초기에는 아직 子수양인의 기운이 남아있어 명예와 권력을 추구한다면 분탈의 우려가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변화가 적은 직장이나 교육, 종교, 연구직 등에 인연할 경우는 별다른 일없이 무난한 직업활동을 할 수 있다.
- 결론
재물이나 명예의 기운이 강하지 않아 특별히 내세울 정도의 직장은 아니지만 庚금편인이 입묘되어 식상을 억제하지 못하기 때문에 제조, 생산 등 비교적 활발한 활동은 가능하지만 재성의 기운이 약해 재물적 보상은 장담할 수 없다.
하지만 식상의 세력이 점점 강해지기 식상을 활용한 기획, 영업, 납품 등의 형태에서는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주로 辛금정인의 능력을 활용해 식상을 쓰는 형태의 교육과 관련된 직업에는 무난하다.
壬수가 辰토를 볼 때 (0) | 2023.07.02 |
---|---|
壬수가 卯목을 볼 때 (0) | 2023.07.01 |
壬수가 寅목을 볼 때 (0) | 2023.07.01 |
壬수가 子수를 볼 때 (0) | 2023.07.01 |
壬수의 적용 (0) | 2023.06.30 |
댓글 영역